간호사가 알아야 할 복수(ascites), paracentesis, SAAG, SBP
복수(ascites) 1. 원인 간경변, 울혈성 심부전(CHF; congestive heart failure), 복강 내 암전이(peritoneal seading), 결핵성복막염, 신증후군(nephrotic syndrome), 간암(HCC) 등 2. 배액방법 paracentesis (복수천자) 복수가 발생했을 경우 제일 먼저 시행. 처음 시행 시 다량의 복수를 배액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(creatine 상승 동반 등) 복수의 생성기전을 확인/진단하기 위해서 Diagnostic paracentesis (진단적 복수천자)를 시행하기도 한다. 이를 보통 임상에서는 D-para 라고 줄여서 말함. paracentesis는 목표하는 복수 양, 보통 최대 3L까지 배액하고, D-paracentesis의 경우 검사를..
2021. 5. 11.
내과 간호사가 알아야할 급성간염의 모든 것
1. 간염의 증상 RUQ discomfort, 식욕부진, 울렁거림(오심), 구토, 피로감, 황달 등 AST(OT), ALT(PT)의 상승 동반 **AST, ALT 가 먼저 상승하기 시작하고 회복되면서 T.bil 상승 후 회복 2. 간염 검사 A형간염 HAV-Ab(IgG), HAV-Ab(IgM) B형간염 HBs-Ab, HBs-Ag HBc-Ab(IgM), HBc-Ab(IgG) HBe-Ag, HBe-Ab HBV DNA C형간염 HBc-Ab(IgG) D형간염 HDV-Ab 3. 급성A형간염 (hepatitis A) HAV-Ab(IgG) : positive A형간염의 현재 감염 혹은 과거 감염력을 나타냄 이 검사만으로 A형간염을 진단하지 않음] HAV-Ab(IgM) : positive 급성A형간염으로 진단 IgM ..
2021. 5. 5.
간기능검사 혈액검사 결과 해석하는 법
LFT (Liver Function Test) 간 기능 평가 Total bilirubin, Direct bilirubin, AST(OT), ALT(PT), ALP(Alk.P), albumin(알부민), r-GTP(감마GT), cholesterol, PT 1. 혈청총빌리루빈 / Total bilirubin / T.bil 상승 원인 1. 용혈 :용혈성 질환이거나 lab 이 hemolysis 되었을 경우. hemolysis 일 경우 재검사가 필요하다. 2. 담관폐쇄 : 담석(CBD stone), 담관암(CBD cancer, CCC, Klatskin tumor), CBD stricture 등 3. 간경변이나 급성 간염 등 간질환 4. 신생아의 상승 : 출생 직 후 적혈구가 분해되기 시작하지만 신생아의 간이 미성..
2021. 4. 29.